사설/칼럼
<정성구 박사 칼럼> 政治는 金治였다
(시사미래신문) 며칠 전, 모 주간 잡지를 읽다 깜짝 놀란 기사를 봤다. 나는 잡지를 읽을 때 순서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마지막 페이지의 편집자의 후기부터 읽는다. 그 이유는 잡지 편집자의 의도를 먼저 알고, 그 주간에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사실 아직도 6·3선거의 후유증이 끝난 것도 아니고, 미국으로부터 부정 선거를 공식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형국이다. 부정 선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고, 특히 ‘중국 세력의 원격 조정으로 표를 도둑질한 것도 있었다’고 한다. 그자(者)들은 자유대한민국만 그 짓을 한 것이 아니고, 미국이나 다른 여러 나라에도 못 할 짓을 한 것이 점점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만연하고 있는 것은, 이른바 금권(金權)선거가 여전하다는 것이다. 선거의 승패는 누가 돈을 많이 쓰는가에 달렸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는 대선이나, 총선이나, 지방 선거도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옛날 노래에 ‘돈 없으면 집에 가서 빈데 떡이나 부쳐 먹지’라는 노래가 있다. 돈 없으면 조용히 있으라는 것이다. 그러니 무엇보다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비상한 머리를 굴려 천문학적 돈을 비축하는 것이, 우선시된 세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