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미래신문) 경기도교육청이 ‘인공지능(AI) 기반 서·논술형 평가 시범 운영 연구회’를 본격 가동하고, 객관성과 신뢰성을 갖춘 평가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연구회는 인공지능 기반 서·논술형 평가를 주제로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정책실행연구회다.
지난 10일부터 진행한 연구회 공모에는 모두 29개 학교가 지원했다. 특히 고등학교는 7.5대 1의 경쟁률을 보여 학교 선생님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도교육청은 공정한 심사를 거쳐 학교 단위로 모두 7개(초 2, 중 3, 고 3) 연구회를 선정했다.
연구회는 학교급별 인공지능 서·논술형 평가 시스템을 시범 적용하고, 이를 검증하며 개선점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교과별 서·논술형 평가도구(루브릭)를 개발해 학교 현장을 돕는다. 도교육청은 연구 결과를 자료로 제작해 도내 모든 학교에 확산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도교육청은 28일, 선정된 연구회 운영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는 오찬숙 디지털인재국장의 ‘디지털 시대의 인공지능 기반 서·논술형 평가시스템’ 기조 발제로 시작했다.
이어 시범운영연구회의 ▲인공지능 기반 서·논술형 평가 운영사례 발표 ▲연구회 연구 주제 공유와 운영 안내 ▲연구회 역할의 방향성 토론과 현장 제안으로 진행했다.
이날 참석한 교원들은 연구 주제 공유와 연구 결과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는 등 열정과 의지를 나타냈다. 또한 공정하고 신뢰도 높은 인공지능 기반 서·논술형 평가시스템 연구에 기대와 관심을 보였다.
설명회에 참석한 김연경 영어 교사(봉담고)는“서·논술형 평가를 지원하는 인공지능 평가시스템은 교사의 채점 부담을 줄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을 위해 꼭 필요하다”며, “연구 결과가 일반 학교에 정착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도교육청 오찬숙 디지털인재국장은 “도교육청의 인공지능 기반 서·논술형 평가가 객관성과 신뢰성, 공정성을 갖춘 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선생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인공지능 기반 서·논술형 평가가 학교 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교원 역량 강화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