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4.6℃
  • 구름조금강릉 25.5℃
  • 구름많음서울 25.9℃
  • 구름조금대전 23.4℃
  • 구름많음대구 24.5℃
  • 구름많음울산 24.0℃
  • 구름많음광주 24.0℃
  • 구름조금부산 23.7℃
  • 구름많음고창 24.4℃
  • 흐림제주 22.8℃
  • 구름많음강화 23.8℃
  • 구름많음보은 19.4℃
  • 구름조금금산 21.9℃
  • 구름조금강진군 23.0℃
  • 구름많음경주시 25.1℃
  • 구름많음거제 23.9℃
기상청 제공

교육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평가 결과 발표

URL복사

창의적 사고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국 중 1~3위, 전체 참여국 64개국 중 2~4위 기록

 

(시사미래신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6월 18일 17시에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22 ‘혁신적 영역(창의적 사고력)’ 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는 2012년부터 학생들의 삶에 대한 준비도를 보다 포괄적으로 전망하기 위해 기본 영역 외에 혁신적 영역을 선정(매 주기마다 변화)하여 평가하고 있다.

 

이번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2022’의 혁신적 영역은 ‘창의적 사고력(Creative Thinking)’으로 독창적이고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안, 지식의 발전, 영향력 있는 상상력의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아이디어의 생성, 평가 및 개선에 생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창의적 사고력’ 영역에서 우리나라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은 60점 만점에 평균 38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28개국에서 1∼3위로, 전체 64개국 중에서는 2∼4위로 나타나 높은 순위를 보여주었다. 우리나라 학생의 약 90%가 기초수준(3수준) 이상에 해당했고, 상위 성취수준(5수준 이상) 비율은 약 46%에 이르렀다.

 

특히, 한국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성취의 경우 학교 내에서의 학생 간 차이와 학교 간 차이가 모두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 낮았다. 또한, 경제‧사회‧문화적 배경이 창의적 사고력 점수에 미치는 영향도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 낮게 나타나 부모의 직업‧교육수준‧자산수준 등이 우리나라 학생의 창의적 사고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의적 사고력 평가는 ‘아이디어 형성과정’과 ‘영역’의 두 개 차원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됐다. 예를 들어 ‘글로 써서 표현’ 영역에서 ‘다양한 아이디어 만들기’를 평가하기 위해 '하나의 그림을 보고 세 개의 다른 제목 만들기' 문항을, ‘사회적 문제 해결’ 영역에서 ‘아이디어 평가하고 개선하기’를 평가하기 위해 '휠체어 사용자용 경사로 설치를 위한 독창적인 방법 제시하기' 문항을 활용했다.

 

한편,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2022 시행 시 같이 실시된 교육맥락변인(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적 학교 환경’(0.16) 지수와 ‘창의적 학교 활동 참여’(0.35) 지수는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0.00)보다 높게 나타나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학교 현장의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자아효능감’ 지수(-0.13)는 낮았다. 다만,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2022 결과에 따르면, 창의적 사고력 점수가 높은 나라에서 자아효능감 지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창의적 과제를 수행하는데 더욱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서 수업혁신‧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본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학생 참여형 탐구 수업 확대 등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높여 나가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