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미래신문) 경기도교육청이 미래지향적 교원인사 업무 추진을 위해 경기형 인사시스템 ‘G-인사이트’를 오는 18일 개통한다. 그동안 수기(手記)로 작성하고 보관해 온 교원 인사기록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인사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구축한 이번 시스템은 나이스(NEIS)를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인사업무를 지원해 주는 교원 맞춤형 인사관리 플랫폼이다.
임태희 교육감은 현행 인사시스템 운영에 따른 담당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인사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AI) 디지털 방식의 인사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을 줄곧 강조해 왔다.
이에 따라 담당 부서인 교원인사정책과는 2024년 하반기 연구용역을 거쳐 올해 11월까지 시스템의 안정적인 구축과 운용 노력을 기울이며 ‘G-인사이트’의 본격 실행을 준비했다.
현재 5개 시범 교육지원청(고양, 시흥, 여주, 안산, 용인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인사데이터의 정확성과 시스템 기능 등을 점검한 후 오는 18일 개통할 예정이다.
‘G-인사이트’를 활용해 새롭게 추진하는 주요 인사업무 영역은 ▲전보(교원 자동배치 프로그램 구현) ▲평정(교원 맞춤 평정 프로그램 적용) ▲시도 교류(타시도 전입자 자동 배치 프로그램 구현) ▲정원(교원 정원관리 데이터 실시간 공유) ▲교육전문직원(정원관리 및 인사 배치 프로그램 구현) 등으로, 종전 수기 방식을 디지털 인사관리 체제로 전면 전환하게 된다.
도교육청은 새로운 인사시스템 구축으로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인사관리 및 교원 인사배치 운영 ▲인사정보 원클릭 확인으로 교원 맞춤형 인사 예측 및 추천 ▲투명한 인사를 위한 실시간 인사정보 공유 및 시각화 데이터 제공 ▲인사업무절차, 결재선 간소화 등 인사업무 효율화 ▲인사문서(증빙서류) 제로화 등을 본격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2026년 시스템 고도화로 서비스 메뉴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인공지능(AI) 인사비서, 교원 맞춤형 인사데이터 제공 등 수요자 중심의 인사정책 추진을 한층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그렇게 되면 오는 2027년까지는 출력용 문서 등의 87% 가량과 구축 영역의 인사지원단 운용 인원을 80% 가량 감소할 수 있어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줄이고, 교원의 업무 경감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범 기간 중 테스트에 참여한 능원초 홍성민 교사는 “지금까지는 각종 인사 관련 서류를 작성한 후 일일이 출력해서 날인하고, 제출 후에도 오류가 발견되면 여러 차례 수정 제출을 반복해야 했다”면서 “G-인사이트 시스템을 활용해 보니, 서류 제출도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어 획기적으로 업무가 경감됐다”고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임태희 교육감은 “이번 인사업무 시스템 개통은 미래교육청을 지향하는 경기도교육청이 대한민국 교육행정과 인사정책을 선도해나가는데 있어 획기적인 출발점이 될 것”이라면서 “인공지능(AI) 디지털 인사관리 전환으로 업무를 ‘줄이고, 바꾸고, 새롭게’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 힘써 주시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