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미래신문) 2025년 7월 18일(금), 경기, 수원, 화성 단체들이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원군공항 이전 시도의 즉각 중단과 수원군공항 폐쇄를 국정 과제로 채택할 것을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수원군공항폐쇄를위한생명·평화회의, ▲수원전투비행장화성이전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 ▲경기국제공항백지화공동행동 등 3개 단체가 공동 주최했으며, 경기환경운동연합 김현정 사무처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김현정 사무처장(경기환경운동연합)은 모두발언에서 “최근 수원시장과 지역 국회의원들이 대통령실에 군공항 이전 TF 구성을 요청하는 등 일방적인 행보를 보이는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라며, “이는 화성시와 시민들의 동의 없는 비민주적 시도로, 자치권 침해이자 불필요한 갈등 유발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는 갈등을 증폭시키는 군공항 이전 시도를 중단하고, 근본적인 해법인 ‘수원군공항 폐쇄’를 국정 과제로 채택해야 한다”라며, “오늘 기자회견을 통해 이러한 목소리를 국정기획위원회에 분명히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인신 실행위원장(수원군공항폐쇄를위한생명·평화회의)은 “수원군공항 문제는 이전만을 전제로 한 낡은 토건 정치의 유산이며, 이로 인해 수원과 화성 시민 사이의 갈등만 깊어지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후위기 시대에 군공항 유지 자체가 불합리하며, 시민의 안전과 상생을 위해서는 폐쇄가 정답”이라며, “국정기획위원회는 이제 수원군공항 폐쇄를 명시적으로 국정 과제로 선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상환 상임위원장(수원전투비행장화성이전반대범시민대책위원회)은 “협의와 동의 없는 군공항 이전은 명백히 법적 정당성이 없는 사업으로, 결코 국정 과제로 추진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화성시의 동의 없이 범정부 TF를 구성하려는 시도는 자치권을 침해하고,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매우 부적절한 행위”라고 말했다. 그는 “지역 간 갈등을 조장하는 수원시의 일방적 행보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해당 건의는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황성현 집행위원장(경기국제공항백지화공동행동)은 “최근 대법원은 잘못된 수요예측으로 지방정부에 손해를 끼친 사건에서 연구기관과 전임 시장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했다”라며, “군공항 이전과 경기국제공항 추진 역시 같은 오류를 반복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에서 경기국제공항을 공약하지 않았다”라고 지적하며, “그런데도 일부 정치인들이 마치 ‘편의점 1+1 상품’처럼 군공항과 경기국제공항을 묶어 추진하려는 시도는 무책임하다”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들은 기자회견 후 국정기획위원회 관계자에게 수원군공항 이전 시도 중단과 폐쇄를 향후 5년 국정 과제에 명확히 포함할 것을 정식 요청하는 의견서를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