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코인)투자 사기 주의해야... 금융당국, '가상자산 유사수신 등 민생금융범죄 집중단속' 실시예정

  • 등록 2021.04.20 22:53:17
크게보기

금융위, "가상화폐(코인)는 법정화폐도 아니고 금융상품도 아니며 누구도 가치를 보장하지 않는다"

금융감독원, "불법금융 파파라치' 제도를 적극 활용해 달라"

 

 

(시사미래신문) 가상화폐(코인) 열풍이 불면서 자신들이 추천한 종목으로 큰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업체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이와 관련 하여 사기 등 범죄 행위도 발생하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서 우리 금융당국이 최근 가상화폐 투자 열풍과 더불어 투자모집책을 통해 '투자'를 빙자한 유사수신과 사기가 늘어나고 있다며 투자를 주의해달라고 당부하고 나섰다.

 

또한 특정금융정보법 시행으로 신고를 하지 못한 일부 가상화폐 거래소의 폐업 가능성도 경고했다.

 

4월15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불법 다단계, 방문판매업자들이 가상화폐 투자를 빙자해 유사수신 및 사기를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는 "가상화폐는 법정화폐도 아니고 금융상품도 아니며 누구도 가치를 보장하지 않는다"며 "투자 및 매매에 있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원금과 고수익을 보장해준다고 할 경우 투자사기나 다단계 유사수신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은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함께 오는 16일부터 '가상자산 유사수신 등 민생금융범죄 집중단속'을 실시할 계획이다. 전담 수사팀 설치를 통해 확인된 범죄수익은 몰수 및 추징 보전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금융감독원의 '불법금융 파파라치' 제도를 적극 활용해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특금법 시행으로 가상자산사업을 하려는 자가 금융정보분석원(FIU) 등에 신고 접수를 하지 않을 경우 폐업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도 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소비자들에게 가상자산사업자의 신고 상황을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신고 현황은 FIU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상자산사업자가 신고를 하기 위해서는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 등의 요건을 구비해야 하므로 이용자는 이와 같은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일부 업자들은 원금 보장을 내세우며 대신 투자해주겠다고 권유하는데, 이는 유사 수신 행위가 될 수 있다.

최근 유명인을 사칭해 대신 투자해주겠다며 돈을 받고 돌려주지 않는 사기까지 잇달아 당국은 조사에 나섰다.
경찰도 불법행위 유형별로 전담부서를 세분화하고 가상자산 추적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 수사력을 강화해 관련 범죄를 근절하겠다는 입장이다.

 

 

 

 

 

 

 

 

 

 

 

 

 

 

 

 

 

 

 

 

 

 

강요셉 강진복기자 bok9106@naver.com
Copyright @2019 시사미래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시사미래신문 | 등록번호 : 경기 아 52295 | 등록일 : 2019년 8월7일 | 서울본부: 서울시 동대문구 한빛로12 삼우빌딩5층 | 오산본부: 경기도 오산시 수목원로88번길 35 현대테라타워CMC B동 F2910호 | 제주본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북로139(오등동) | 본사: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행정죽전로1길30 | 발행인:강진복 | 편집인:김은숙 | 연락처 및 광고문의 : 070-4184-9206 | E-mail : sisamirae79@naver.com Copyright ©2019 시사미래신문. All rights reserved. 시사미래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