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미래신문)
다음 주 쯤 이재명 정부가 군 장성 인사에서 사상 초유의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 군 인사 역사에 전례 없는 일이 일어나려 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다음 주 단행할 장성 인사에서 현역 대장 7명 전원을 전역시키기로 한 것이다.
합참의장, 3군 참모총장, 연합사 부사령관, 지상작전사령관, 제2작전사령관 등 군 지휘부 핵심이 한순간에 교체되는 상황이다. 이들 7명 모두가 동시에 군복을 벗는 것은 군 인사 역사상 처음이다.
그동안 합참의장은 대장급 인사 중 한 명이 승진해 보직을 이어왔지만, 이번 인사는 기존 틀을 완전히 벗어나 현역 대장을 전원 교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차기 합참의장을 포함한 주요 직책은 모두 중장급에서 발탁될 전망이다.
국방부 복수의 관계자는 “이번 인사의 원칙 중 하나는 현역 대장 전원의 전역”이라고 밝혀, 사실상 전면 쇄신 성격임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계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주장해온 강호필 지상작전사령관, 차기 합참의장으로 유력시됐던 강신철 연합사 부사령관, 그리고 육·해·공군 참모총장까지 모두 옷을 벗게 된다.
이들의 공백은 중장이 승진해 채우게 되며, 중장·소장 등 진급 인사 폭도 연쇄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는 지난 2022년 윤석열 정부가 6명의 대장을 전역시킨 사례를 넘어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장성 인사다.
차기 합참의장은 육군에서 배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과 해군은 최근 사건·사고로 인해 해·공군의 입지가 축소되어 신뢰를 잃었다.
공군의 민가 오폭, 일본 전투기 발진 사고, 해군호텔 예식장 유착 의혹 등은 차기 군 수뇌부 경쟁에서 불리한 요인이 됐다. 따라서 차기 합참의장은 육군에서 나올 가능성이 크다.
결국 군의 권력 구도는 다시 육군 중심으로 재편되지만, 이번에는 육사와 비육사의 ‘균형 배치’라는 새로운 변수가 작동하게 된다.
특히 정부는 합참의장에는 육사 출신을, 육군참모총장에는 비육사 출신을 기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합참의장에게는 문민 국방장관의 보좌 역할을 강화시키고, 비육사 출신 육군총장에게는 계엄 체제의 잔재를 뿌리 뽑는 임무를 맡기는 구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대장 7명 전원 교체는 군 인사에 있어 전례 없는 조치이자, 향후 국방 지휘체계의 큰 변화를 예고하는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이재명정부의 ‘새판 짜기’의 성패는 실행에 달려있다.
이번 결정은 군에 대한 신뢰 회복과 문민 통제 강화를 향한 강력한 의지 표명이다.
그러나 군의 특수성을 무시한 과도한 정치 개입으로 비칠 경우, 오히려 국방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군의 대대적인 세대교체는 이제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중요한 것은, 새로 들어설 지휘부가 단순히 자리를 메우는 인사가 아니라 새로운 국방 리더십을 보여주느냐이다.
결국 이번 ‘대장 7명 전원 전역’이라는 초유의 결단은 대한민국 군의 미래를 가를 중대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