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정책과 현장 잇는 행보 … APEC 인구대응 논의 촉구 및 에이지테크 현장방문

  • 등록 2025.07.16 12:30:25
크게보기

국민과 함께 만드는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6∼2030)』 수립 등을 위해 7일 부산·경남에 이어 16일 대구·경북에 직접 찾아가 현장 소통

 

(시사미래신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은 16일 ‘APEC 정상회의 인구구조변화 대응 포럼’에 참석하여 APEC 핵심 아젠다로 다뤄질 인구구조변화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계명대 고령친화산업 혁신센터’를 방문해 지역 에이지테크(Age-Tech) 산업 육성 정책수립을 위한 현장의견도 청취했다.

 

경상북도 주최로 이날 경주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 인구구조변화 대응 포럼’은 'APEC 2025 KOREA'의 핵심 의제인 인구구조 변화와 관련된 과제발굴 및 해법모색을 위해 마련된 자리다.

 

주형환 부위원장은 축사에서 “인구구조의 변화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많은 국가들 겪는 공통의 위기로, 2024년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APEC 회원이 한국, 홍콩, 대만, 칠레, 싱가포르, 태국 등 6개 국가에 이른다”며, 인구위기 공동대응의 필요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 부위원장은 포럼의 세 가지 주요 논의방향을 제시했다.

 

우선, ‘저출생 극복을 통한 지역공동체의 활력회복’ 방안으로, 일과 가정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남성의 육아휴직을 보다 확대하고, 기업의 유연근무제도도 더 보급하는 등의 정책적 기반 마련 방안이 논의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비혼가구, 한부모가정, 입양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가 존중받고 정책적으로 지원되는 ▴‘포용적 문화 안착’과 고령자의 삶의 질 제고와 새로운 경제 가치 창출도 가능한 ▴‘에이지테크 산업 집중 육성’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논의를 당부했다.

 

또한, 주 부위원장은 “저출생 추세반전을 위한 일·가정양립과 돌봄·육아지원 등 저출생 대응은 물론,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이민정책, 고령자·여성 등 경제활동 참여 확대방안 등에 대한 공동원칙과 실행방향 포함한 경주 선언문을 채택하자”고 제안했다.

 

이외에도 실효적인 ‘경주선언’을 위한 ▴실무워킹그룹과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성, 에이지테크 박람회 개최 등 민·관·학·연의 협력을 촉진하는 ▴혁신플랫폼 구축, APEC 회원 전체의 인구정책역량 강화에 사용될 ▴'저출생·고령화 대응 공동펀드' 설립 등도 언급했다.

 

이어 주 부위원장은 계명대 고령친화산업혁신센터를 방문하여 에이지테크 연구 및 실증현장을 점검하고, 향후 권역별 산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현장의견을 청취했다.

 

계명대 고령친화산업 혁신센터는 고령친화산업 제품의 사용성 평가, 기술지원, 산학연 협력 등으로 고령친화산업 성장을 선도하는 대구·경북 지역의 대표 고령친화산업 거점기관이다.

 

주 부위원장은 에이지테크 산업의 발전을 이끌기 위한 정부의 에이지테크 산업육성 기반 조성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고 적극적인 협력과 지원체계 마련을 약속했다.

 

주 부위원장은 “돌봄로봇, 웨어러블 기기 등 에이지테크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5개 권역별 고령친화산업 혁신센터의 기능을 고도화하고, 실증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대 구축하여 지역 내 고령자 수요에 기반한 실증 및 사업화 등 지역 밀착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관련해 지난 3월 ‘10차 인구비상대책회의’를 통해 AI돌봄로봇, 웨어러블·디지털 의료기기, 노인성 질환치료, 항노화 재생의료, 스마트 홈케어 등 5대 분야를 중점 육성하는 'Age-Tech 실버경제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5월에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업과 학계, 연구기관, 정부가 참여하는 ‘Age-Tech 민관 얼라이언스’를 출범시켜 기술실증과 제도정비, 인프라 구축 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시작했다.

 

주 부위원장은 “이를 통해 에이지테크 분야의 스타트업 창업을 촉진하고 연구개발부터 실증, 상용화와 글로벌 진출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는 에이지테크 생태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밝혔다.

 

12일 ‘2025 미래세대 국민WE원회’를 발족하는 한편, 부산·경남(7일)에 이어 대구·경북으로 계속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현장 행보는 국민과 함께 만드는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6∼2030)』을 위한 것으로, 정책수요자 및 공급자에 대한 만남과 현장 방문을 계속 이어갈 방침이다.

강은민 기자 rkddmsals3@naver.com
Copyright @2019 시사미래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시사미래신문 | 등록번호 : 경기 아 52295 | 등록일 : 2019년 8월7일 | 서울본부: 서울시 동대문구 한빛로12 삼우빌딩5층 | 오산본부: 경기도 오산시 수목원로88번길 35 현대테라타워CMC B동 F2910호 | 제주본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북로139(오등동) | 본사: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행정죽전로1길30 | 발행인:강진복 | 편집인:김은숙 | 연락처 및 광고문의 : 070-4184-9206 | E-mail : sisamirae79@naver.com Copyright ©2019 시사미래신문. All rights reserved. 시사미래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